본문 바로가기

식물 잎에 끈적한 액체? 정체는 개각충! 퇴치, 박멸 후기 정리

그리너준 2025. 7. 29.
반응형

저는 집에서 반려 식물을 몇 가지 키우고 있는 식집사인데요. 식물에 푸른 식물들이 있으면 뭔가 생기가 돌고 키우는 재미도 있어서 키우기 시작한 게 하나둘씩 늘어나게 되었어요.

 

최근에 보라매 공원에서 진행했던 '국제정원박람회'에 방문했다가 식물 2개를 데려왔거든요. 분갈이도 하고 이것저것 정성 들여 키우고 있었는데, 어느 순간 잎에 끈적한 액체가 흩뿌려져 있는 걸 발견했어요.

 

'식물 잎 끈적임' 그리고 '식물 잎 액체' 등으로 검색해서 찾아봤어요. 식물을 오래 키우신 분들이 개각충(깍지벌레)이라는 벌레의 분비물이라고 하더라고요?

 

오늘은 며칠 고생하며 개각충을 박멸한 방법을 공유해 볼게요!

 

개각충-뱅갈고무나무-줄기

 

 

개각충

구분 내용
외형, 크기 성충 : 1~3mm
단단하고 편평한 등껍질(개각)으로 덮힘
서식부위 식물의 줄기, 가지, 잎, 표면에 단단히 부착하여 수액을 빠는 생활사
피해 흡즙으로 인한 잎 황변, 위축, 낙엽
과실이나 줄기에 꿀물 배출 후 검은 그을음병 발생
심할 경우 식물 생장 저해
 

 

개각충은 홍콩야자, 뱅갈고무나무 등과 같이 잎이 두터운 식물에서 많이 발견되는데, 식물이 너무 건조하면 잘생긴다고 해요.

 

하지만 대부분은 밖에서 데려올 때 이미 개각충이 있는 상태이고 서서히 번식하면서 눈에 띄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저도 같은 케이스인 것 같은데, 처음에는 잘 몰랐는데 시간이 어느 정도 지나니 개각충이 발견되더라고요.

 

크기가 1~3mm로 작아서 잘 안 보이고, 잎이나 줄기 아래에 붙어서 서식하기 때문에 식물에 관심을 가져주지 않으면... 발견하기 어렵답니다. 그리고 개각충은 움직임이 거의 없고 갈색 등딱지만 보이기 때문에 얼핏 보면 잘려나간 가지? 같은 느낌을 주더라고요. (개각충을 모르면 벌레인지 판별하기도 어려워요.)

 

가장 쉽게 판별하는 방법은 식물 잎에 끈적이는 액체가 있는지 유심히 살펴보고 잎이 반짝거린다면 개각충이 있을 확률이 높아요.

 

 

제거방법

구분 내용
제거방법 손이나 도구를 이용해 직접 긁어내기
매일 잎 닦아주기
바이오킬과 같은 살충제 처리

 

 

박멸하기 위해서는 개각충의 씨를 말려야 하는데, 이게... 새끼들은 볼펜으로 점을 찍어놓은 것처럼 작은데, 번식력까지 좋아서 제거하기가 힘들더라고요.

 

저는 직접 손으로 떼어내는 방식과 추가로 '바이오킬'을 이용해 살충을 해주었어요. 살충제를 너무 많이 뿌리기에는 부담스러워서 손으로 떼어내는 건 매일(약 일주일) 해줬고, '바이오킬'은 식물 전체에 듬뿍 2번 정도 뿌려준 것 같아요.

 

실제로 개각충을 제거할 때 식물에 상처가 날 수밖에 없어서 최대한 휴지와 물티슈 등을 사용하여 직접 떼어내 주었어요. 도구를 사용하려면 작은 솔이나 면봉으로 긁어내 주시면 될 것 아요. 움직임이 없어 벌레라는 느낌보다는 식물에 붙어있는 무언가를 떼내는 느낌이라 크게 거부감은 없었습니다.

 

떼어낸 자리의 줄기나 잎은 푹 파여있거나 상처가 나있었어요 ㅠㅠ 이렇게 개각충이 붙어서 식물의 수액을 빨아먹는다고 하니 보이는 족족 제거해 주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한 번에 제거는 힘들고 며칠 같은 작업을 반복해 줘야 했어요. 성충이라 해도 크기가 작고, 새끼들은 정말 작아서 자세히 보지 않으면 못 보고 지나치는 경우도 많았던 것 같아요. 모두 제거했다고 생각했지만 다음날 또 발견되고, 다음날 또 발견되고 그러더라고요. 

 

등껍질이 두터워서 약으로 제거하기가 어렵다고는 하지만, 중간중간 '바이오킬'을 이용해서 살충 처리도 해주면 좋아요! 아, 그리고 매일 잎을 닦아주시는 것도 해주시면 좋아요!

 

식물이 그렇게 크지 않아서 다행이지, 식물까지 컸다면 아마 많이 힘들었을 것 같아요.

 


 

오늘은 반려 식물에 생기는 개각충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 공유해 보았는데요. 작은 벌레라도 초기에 잡지 않으면 식물들의 성장에 방해가 되니 꼭 관심을 가지고 돌봐 주세요!

 

 

💚 초파리 제거방법

 

바닥에 있는 깨, 초파리 알은 아닐까? 생기는 이유 및 퇴치방법

날이 조금 시원해지면서 벌레들의 활동이 주춤해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항상 집에서 골치인 벌레인 게 하나 있죠. '초파리'입니다.계절 상관없이 음식물 쓰레기 주변에서 계속해서 날아다니며

greenerjun.jjunn93.com

 

반응형

댓글